기독교 순교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독교 순교자는 자신의 신앙을 위해 죽음을 당한 사람을 의미하며, 초기 기독교 시대부터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았다. 어원은 증언자를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사도들이 예수의 부활을 증언한 것에서 시작되어 신앙을 지키기 위해 죽음을 선택하는 사람들로 의미가 확장되었다. 초기 기독교는 로마 제국의 박해를 받았고, 중세 시대에는 이슬람 세력의 지배 아래에서 기독교인들이 순교를 겪었다. 순교는 기독교 신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순교자의 피는 교회의 씨앗"이라는 터툴리아누스의 말처럼, 다른 사람들의 개종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순교에는 적색, 백색, 청색 순교의 유형이 있으며, 현대에도 신앙 때문에 목숨을 잃는 기독교인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순교자 - 로버트 저메인 토마스
로버트 저메인 토마스는 웨일스 출신 개신교 선교사로, 런던 선교회 파송을 받아 중국에서 활동하다 조선 선교를 위해 1865년 조선을 처음 방문하여 선교 활동을 펼쳤으며, 1866년 제너럴 셔먼호 사건 와중에 평양에서 순교하여 한국 개신교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유형별 성인 - 가경자
가경자는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신앙의 모범이 되는 사람에게 주는 칭호로 시복 및 시성 절차의 첫 단계이며, 교황청의 시복 조사가 접수되거나 교황의 특별 칙령을 통해 부여될 수 있고, 동방 정교회와 성공회에서도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 유형별 성인 - 그리스도를 위한 어리석음
그리스도를 위한 어리석음은 동방 정교회 금욕주의의 한 형태로, 의도적으로 어리석은 행동을 통해 세속적 가치에 도전하고 세상의 칭찬을 피하기 위해 정신 이상을 가장하는 행위이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기독교 순교자 | |
---|---|
순교자 정보 | |
![]() | |
순교의 의미 | 원래는 법적 증인을 의미했으나, 예수에 대한 증언이 죽음으로 끝나는 사람을 지칭하게 됨 |
순교의 의미 변화 | 이후에는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 때문에 죽는 것을 의미하게 됨 |
순교자의 상징 | 종려나무 가지 |
순교자의 시대 | 초기 교회 시대는 순교의 고전 시대임 |
증언의 의미 | 예수에 대한 증언이 죽음으로 끝나는 것 |
순교의 이유 | 신앙에 대한 증언으로 인해 죽음을 맞이함 |
기독교적 관점 | |
초기 기독교 순교 | 기독교가 로마 제국에서 박해를 받았을 때 많은 순교자들이 발생 |
순교의 영성 | 순교는 그리스도를 따르는 궁극적인 증거로 여겨짐 |
순교자의 역할 | 기독교 신앙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 |
순교의 영향 | 기독교 신앙의 확산에 크게 기여 |
추가 정보 | |
관련 용어 | 증인, 순교 |
순교의 상징 | 종려나무는 순교와 승리의 상징 |
2. 어원
비성경적 그리스어에서 μάρτυς|mártys|마르티스el라는 단어는 주로 법적 맥락에서 사용되었다. 이는 직접 관찰한 내용을 증언하는 사람을 가리켰다. 비법적 맥락에서 사용된 "순교자(martyr)"는 화자가 진실이라고 믿는 것을 선포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관찰뿐만 아니라 경험적으로 관찰할 수 없는 윤리적 판단과 도덕적 확신의 표현에도 이 용어를 사용했다. 플라톤이 "진실의 증인"을 의미하는 데 이 용어를 사용한 몇 가지 예가 있는데, 법률론에도 포함된다.[5]
3. 역사적 배경
종교적 순교는 서구 문명에 대한 제2성전 시대 유대교의 가장 중요한 공헌 중 하나로 여겨진다. 하나님을 위한 자발적 죽음이라는 개념은 안티오쿠스 4세 에피파네스 왕과 유대인들 사이의 갈등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 마카비 1서와 마카비 2서는 안티오쿠스 4세 에피파네스 왕의 지배하에 헬레니즘화에 저항하는 유대인들이 안식일 준수, 할례, 돼지고기나 이방 신에게 바쳐진 고기를 거부하는 등의 죄목으로 처형당한 수많은 순교자들을 기록하고 있다.
기독교 순교 기록의 기원에 관해서는 W. H. C. 프렌드와 G. W. 바워속의 두 가지 주요 논제가 있다. 프렌드는 기독교 순교 개념이 유대적 뿌리에서 비롯된 것으로만 이해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유대교를 "순교의 종교"로 규정하고, "유대적 순교 심리"가 기독교 순교에 영감을 주었다고 주장한다. 반면 바워속은 기독교 순교 전통이 소아시아의 로마 제국 도시 문화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한다.
다니엘 보야린은 두 주장이 서로 대립하지만, 유대교와 기독교가 이미 별개의 독립된 종교였다는 가정에 기초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는 이러한 가정에 이의를 제기하며, "순교의 형성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대교와 기독교를 별개의 실체로 만드는 과정의 일부였다"고 주장한다.[9]
3. 1. 초기 기독교와 로마 제국
그리스어 단어 ''순교자''는 자신이 직접 관찰한 사실에 대해 증언하는 "목격자"를 의미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 용어는 처음으로 사도행전에 등장하며, 사도들을 그리스도의 공생애에서 관찰한 모든 것에 대한 "목격자"로 언급한다.[6] 전통에 따르면 사도들은 심각한 위험에 직면하여 결국 거의 모든 사도들이 자신의 신념 때문에 죽음을 당했다.
순교자와 고백자의 구별은 2세기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극형을 받은 사람만이 순교자였고, 고백자라는 칭호는 투옥이나 고문을 용감하게 견딤으로써 자신의 신앙을 위해 죽을 의향을 보였지만 사형당하지 않은 그리스도인들에게 주어졌다. 그러나 3세기 동안에도 순교자라는 용어는 여전히 살아있는 사람들에게 적용되었다.[6]
스데반은 신약 성경에 기록된 최초의 순교자로, 신성 모독 혐의로 기소되어 레위법에 따라 산헤드린에 의해 돌에 맞아 죽임을 당했다.[25] 1세기 말엽에는 클레멘스가 클레멘스 1서에서 베드로와 바울의 순교를 전하고 있다.[26]
주디스 퍼킨스는 많은 초기 기독교인들이 "기독교인이 된다는 것은 고난을 받는다는 것"이라고 믿었다고 적었다.[31] 이는 부분적으로 예수의 모범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 순교자들의 삶은 일부 기독교인들에게 영감의 원천이 되었고, 그들의 유물은 존경을 받았다. 로마 카타콤의 수많은 묘소와 예배당은 양심의 자유를 위해 싸운 이들에 대한 초기 존경심을 보여준다.[6]
초기 3세기 동안, 기독교 교회는 로마 당국의 박해를 받았다. 기독교인들은 지방 당국에 의해 간헐적이고 임시적으로 박해를 받았다. 또한, 로마 정부의 중앙에서 지시된 제국 전역의 박해가 여러 차례 있었다.
기독교인들은 로마 신들을 숭배하거나 황제를 신으로 숭배하기를 거부했기 때문에 박해의 표적이 되었다. 로마 제국에서 황제에게 제사하거나 제국의 신들에게 제사하는 것을 거부하는 것은 자신의 국가에 대한 충성 맹세를 거부하는 것과 마찬가지였다.
성인 숭배는 기독교화 과정에 중요했지만, 교회 초창기에는 성인을 기리는 축하 행사가 은밀하게 이루어졌다.[22] 마이클 개디스는 "이교도 박해 중 기독교인들이 겪은 폭력은 4세기와 5세기에 걸쳐 더 많은 종교 갈등을 일으킨 이념과 관행을 형성했다"고 썼다.[34] 순교는 형성적인 경험이었고, 후대에 기독교인들이 폭력 사용을 정당화하거나 비난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34]
3. 2. 중세 시대
역사학자들은 7세기부터 10세기까지 아랍계 이슬람 군대의 침략을 받은 지역에 거주하던 기독교인들이 초기 중세 시대 동안 아랍계 이슬람 관리들과 통치자들에 의해 여러 차례 종교적 차별, 종교적 박해, 종교적 폭력, 순교를 겪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36][37] 이슬람 통치하의 기독교인들은 다른 종교인들과 함께 "짐미" 신분에 처해져 이슬람교도보다 열등한 지위를 받았다.[37][38]
따라서 기독교인들은 전도 활동 금지(기독교인의 경우 복음 전파 금지), 무기 소지 금지, 특정 직업을 갖는 것 금지, 아랍인들과 구별하기 위해 다른 복장을 해야 하는 등 종교적 차별과 박해에 직면했다. 이는 사형의 위험이 따르는 것이었다.[38] 이슬람 율법(샤리아)에 따라 비무슬림들은 지즈야와 하라지 세금을 납부해야 했다.[37][38][39] 이슬람 통치자들은 군사 원정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기독교 공동체에 정기적으로 과도한 몸값을 부과했는데, 이는 이슬람 국가의 수입에 상당한 부분을 차지했지만 반대로 많은 기독교인들을 빈곤에 빠뜨렸다. 이러한 경제적, 사회적 어려움으로 많은 기독교인들이 이슬람으로 개종하게 되었다.[38] 세금을 낼 수 없는 기독교인들은 자녀를 이슬람 통치자에게 넘겨야 했으며, 그들은 이슬람 가정에 노예로 팔려 이슬람으로 강제 개종당했다.[38] 많은 기독교 순교자들이 이슬람으로의 개종 거부, 이슬람교 탈퇴 후 기독교로의 재개종, 이슬람 신앙에 대한 신성 모독과 같은 저항 행위로 인해 처형되었다.[36]
15세기 중세 영어 도덕 논문인 『디베스와 포퍼』에서 디베스는 십계명 중 첫째 계명("나 외에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에 관해 "요즘에는 옛날처럼 순교자가 없습니까?"라고 질문한다. 포퍼는 영국인들이 "왕과 주교, 고위층, 계급, 신분, 지위를 가리지 않고" 많은 새로운 순교자들을 만들고 있다고 답한다. 포퍼의 말은 리처드 2세의 살해와 리처드 스크로프(요크 대주교)의 처형을 포함한 역사적 사건을 바탕으로 한다.[40] 다나 피로얀스키는 14세기와 15세기의 반란, 내전, 정권 교체, 기타 정치적 격변 속에서 살해된 왕과 주교 등 고위층 인물들을 "정치적 순교자"라고 부른다. 피로얀스키는 이 사람들이 공식적으로 성인으로 시성되지는 않았지만, 폭력적이고 때 이른 죽음 이후 기적을 행하는 순교자로 숭배되었고, 그들의 무덤은 성소가 되었다고 지적한다.[40] J. C. 러셀은 "정치적 성인의 숭배"가 "왕에 대한 저항을 보여주는" 어려움을 통제하거나 처벌하기 어려운 방법이었을 수 있다고 적었다.[40]
4. 신학적 의미
그리스어 단어 μάρτυςel ()는 원래 법정에서 증언하는 사람을 의미하는 법률 용어였으나, 비법적 맥락에서는 화자가 진실이라고 믿는 바를 선포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 용어를 윤리적 판단과 도덕적 확신을 표현하는 데 사용했고, 플라톤은 법률론에서 "진실의 증인"을 의미하는 데 사용했다.[5]
사도행전에서는 사도들을 그리스도의 공생애를 목격한 "목격자"로 언급하며 이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베드로는 유다의 후계자를 선출하면서 "주 예수께서 우리 가운데 드나드시던 때부터 요한의 세례 때부터 우리를 떠나 승천하시던 날까지 우리와 함께 지낸 이 사람들 중에서 한 사람을 우리와 함께 그의 부활의 증인이 되게 하여야 합니다."라고 말했다.[6]
사도들은 신념 때문에 죽음을 당하는 경우가 많았고, 성경은 두 사도의 순교를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순교자"라는 용어는 죽음의 위협 아래에서 증언을 부인하도록 요구받을 수 있는 목격자를 의미하게 되었다. 이후 그리스도교 문헌에서 순교자는 신앙을 부인하기보다는 죽음을 택하는 사람을 의미하게 되었고, 1세기 말 요한이 이러한 의미로 이 단어를 사용했다.[6]
순교자와 고백자의 구별은 2세기 후반에 나타났다. 순교자는 극형을 받은 사람, 고백자는 투옥이나 고문을 견디며 신앙을 위해 죽을 의향을 보였지만 사형당하지 않은 그리스도인이었다. 그러나 3세기에도 키프리아누스처럼 강제 노역에 처해진 주교, 사제, 평신도에게 순교자 칭호를 부여하는 등 살아있는 사람에게도 순교자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6]
종교적 순교는 제2성전 시대 유대교가 서구 문명에 기여한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안티오쿠스 4세 에피파네스와 유대인들 간의 갈등에서 비롯되었다. 마카비 1서와 마카비 2서는 안티오쿠스 4세의 지배하에 헬레니즘화에 저항한 유대인들이 안식일 준수, 할례, 돼지고기나 이방 신에게 바쳐진 고기를 거부하는 등의 죄목으로 처형당한 수많은 순교자들을 기록하고 있다.[7]
다니엘 보야린(Daniel Boyarin)은 기독교 순교 기록의 기원에 관한 두 가지 주요 논제, 즉 W. H. C. 프렌드(Frend)의 유대교 기원설과 G. W. 바워속(Bowersock)의 로마 문화 기원설을 제시했다. 프렌드는 기독교 순교가 유대적 뿌리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하며, 유대교를 "순교의 종교"로 규정하고 "유대적 순교 심리"가 기독교 순교에 영감을 주었다고 보았다.[7] 반면 바워속은 기독교 순교가 로마 제국의 도시 문화에서 비롯되었으며, 특히 소아시아의 아고라와 원형극장 등 공공장소에서 진행되었다고 주장했다.[8] 보야린은 두 주장 모두 유대교와 기독교가 이미 별개의 종교였다는 가정에 기초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순교의 형성이 유대교와 기독교를 별개의 실체로 만드는 과정의 일부였다고 주장한다.[9]
바울은 예수가 "죽기까지 순종하셨다"고 가르쳤는데, 이는 유대법에서의 자기희생을 의미하는 1세기 유대인들의 표현이었다. 일부 학자들은 예수의 죽음을 유대인의 순교로 보며,[10][11][12] 가톨릭교회는 예수를 "순교자의 왕"이라고 부른다.[14]
2세기 교부 작가 터툴리아누스는 "순교자의 피는 교회의 씨앗이다"라고 썼는데, 이는 순교자의 희생이 다른 사람들의 개종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15]
순교 시대는 신학적 문제들, 예를 들어 그리스도교 신앙을 저버린 낙교자들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가와 같은 문제들에 직면하게 했다. 속죄 기간 후에 그들을 다시 받아들이기로 합의하면서, 회개와 죄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교회로의 재입교가 허용되는 중요한 순간이 되었다. 이 문제는 도나티스트와 노바티아누스파의 분열을 야기했다.[16][17]
"믿음을 위한 순교…는 그리스도교 경험에서 중심적인 특징이 되었다."[18] "'세상'에 의한 박해의 개념은…그리스도교 전통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19]
순교의 "종말론적 이데올로기"는 바울 서신에서 발견되는 역설, 즉 "그리스도 밖에서 사는 것은 죽는 것이고, 그리스도 안에서 죽는 것은 사는 것이다"에 근거한다.[20][21] 터툴리아누스는 ''순교자들에게''(Ad Martyras)에서 일부 그리스도인들이 순교를 "열렬히 원했다"고 썼다.[21]
순교자 설교는 카이사레아의 바실리우스, 니사의 그레고리우스, 아마세아의 아스테리우스, 요한 크리소스토모스, 예루살렘의 헤시키우스 등이 고대 그리스어로 썼으며, 성인전 전통의 일부였다.[22]
순교자들과 변증가들은 발전하는 신앙에 중대한 역사적, 신학적 결과를 가져왔다.[23][24] 박해는 성인에 대한 헌신을 불러일으켰고, 그리스도교의 급속한 성장과 확산을 촉진했으며, 그리스도교에 대한 방어와 설명(변증)을 촉구했고, 교회의 본질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했다.
5. 순교의 유형
일부 로마 가톨릭 저술가(예: 토마스 케이힐(Thomas Cahill))는 초기 기독교에서 발전된 순교의 정도에 대한 체계를 계속 사용하고 있다.[41] 이 등급 중 일부는 생명 자체를 희생한 사람들과 함께 삶의 중요한 부분을 희생한 사람들에게 순교자의 칭호를 수여한다. 그레고리오 1세는 ''복음서 강론(Homilia in Evangelia)''에서 "빨강, 파랑(또는 녹색), 흰색으로 지정된 세 가지 방식의 순교"에 대해 썼다.[42] 신자는 종교 박해로 인한 고문이나 폭력적인 죽음으로 인해 순교자라는 칭호를 받았다. 교부 제롬(히에로니무스)은 "백색 순교"라는 용어를 "엄격한 금욕을 통해 순교의 상태를 열망한 사막의 수도자와 같은 사람들"을 위해 사용했다.[42] 파란색(또는 녹색) 순교는 "필수적으로 여정이나 삶으로부터의 완전한 철회를 의미하지 않고도 금식과 회개의 노동을 통해 욕망을 부인하는 것"을 포함한다.[42]
"적색 순교자"(신앙을 위해 피를 흘리거나 처형당한 사람)와 "백색 순교자"(피를 흘리지 않았거나 처형되지 않았지만 "모든 모욕과 잔혹함을 겪은" 사람)라는 용어도 같은 맥락에서 사용된다.[43]
6. 현대의 기독교 순교
매사추세츠 주 해밀턴에 있는 복음주의 신학교인 고든-콘웰 신학교의 세계 기독교 연구 센터는 이전에 매년 10만 명의 기독교인이 신앙 때문에 사망한다고 추산했지만, 현재는 이 추산을 부인했다. 교황청의 유엔 상임관찰자인 실바노 마리아 토마시 대주교는 나중에 유엔 인권이사회 제23차 회기에서의 라디오 연설에서 이 수치를 언급했다.[44][45]
10만 명이라는 추산치에 사용된 방법론은 광범위하게 비판받았다. 센터가 2000년부터 2010년 사이 순교한 기독교인 100만 명 중 대다수는 콩고민주공화국의 내전 중 사망했으며, 보고서는 이러한 살인의 주요 동기로 받아들여지는 정치적 또는 민족적 차이를 고려하지 않았다. CSGC 소장인 토드 존슨은 자신의 센터가 이 통계를 포기했다고 말했다. 바티칸 기자이자 "기독교인에 대한 세계적 전쟁"의 저자인 존 L. 앨런 주니어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 문제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수치를 얻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지만, 제 책의 요점, 즉 서구에서 논의를 지배하는 경향이 있는 서술, 즉 기독교인들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교회에 속해 있기 때문에 박해받을 수 없다는 서술을 깨는 데는 궁극적으로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진실은 오늘날 세계 23억 기독교인의 3분의 2가… 위험한 이웃에 살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들은 종종 가난하고, 종종 민족, 언어, 문화적 소수 민족에 속하며, 종종 위험에 처해 있습니다."[46]
참조
[1]
논문
Martyr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19
[2]
잡지
Early Church: The classic age of martyrs
https://www.archindy[...]
Archdiocese of Indianapolis
2023-08-09
[3]
백과사전
Martyr
Oxford University Press
[4]
가톨릭 백과사전
Palm in Christian Symbolism
[5]
서적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Eerdmans
[6]
백과사전
Martyr
https://www.newadven[...]
Robert Appleton Company
2017-05-28
[7]
서적
The Early Christian World
[8]
서적
Martyrdom and Rome
[9]
서적
Dying for God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0]
논문
Jewish Martyrdom and Jesus' Death
Mohr Siebeck
[11]
논문
The Martyr Motif in the Gospel According to Mark
[12]
논문
The 'Trial Scene' Chronotype in Mark and the Jewish Novel
Peeters
[13]
성경
USCCB Bible Matthew 5:17
https://bible.usccb.[...]
[14]
웹사이트
Directory on Popular Piety and the Liturgy, 237
https://www.vatican.[...]
[15]
서적
The Blood of Martyrs: Unintended consequences of ancient violen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16]
백과사전
Oxford University Press
[17]
백과사전
Oxford University Press
[18]
학술지
The sect-church dynamic and Christian expansion in the Roman empire: Persecution, penitential discipline, and schism in sociological perspective
Blackwell Publishing
1993-06
[19]
서적
The Christian Coalition: Dreams of restoration, demands for recognition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
성경
[21]
학술지
''Paradisus in carcere'': The vocabulary of imprisonment and the theology of martyrdom in the ''Passio Sanctarum Perpetuae et Felicitas''
[22]
서적
'Let us die that we may live': Greek homilies on Christian martyrs from Asia Minor, Palestine and Syria, c. AD 350–c. 450 AD
Routledge
[23]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ity
Prince Press
[24]
보고서
La plus ancienne littérature martyriale
https://www.academia[...]
[25]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0
[26]
서적
Peter, Paul, and Mary Magdalene: The followers of Jesus in history and legend
Oxford
[27]
서적
The Martyrdom of Peter in Early Christian Literature
De Gruyter
[28]
서적
The Letters to Timothy and Titus
Eerdmans
[29]
서적
Just James: The brother of Jesus in history and tradition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30]
백과사전
1998-07-20
[31]
학술지
Philosophy as training for death: Reading the ancient Christian martyr acts as spiritual exercises
https://www.britanni[...]
2010-05-27
[32]
서적
Clement of Alexandria and a Secret Gospel of Mark
Harvard University Press
[33]
서적
The Age of Constantine the Gre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4]
서적
There is no crime for those who have Christ: Religious violence in the Christian Roman empi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5]
서적
Martyrdom and Memory: Early Christian culture making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36]
서적
Christian Martyrs under Islam: Religious violence and the making of the Muslim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37]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
서적
The Jews of Arab Lands: A history and source book
Jewish Publication Society
[39]
서적
Islam and Dhimmitude: Where Civilizations Collide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40]
서적
Martyrs in the Making: Political martyrdom in late medieval England
Palgrave Macmillan
2008
[41]
웹사이트
Red, White, and Green Martyrs?
https://www.francisc[...]
Franciscan Media
2020-05-23
[42]
서적
The Order of Mass: Study edition and workbook
Archdiocese of Chicago
[43]
서적
John Paul II's Book of Saints
Our Sunday Visitor Publishing Division
[44]
웹사이트
The case for higher numbers of Christian martyrs
https://web.archive.[...]
Gordon-Conwell Theological Seminary
2015-04-19
[45]
뉴스
Vatican to UN: 100 thousand Christians killed for the faith each year
http://www.archivior[...]
Vatican Radio
2015-04-19
[46]
뉴스
Are there really 100,000 new Christian martyrs every year?
https://www.bbc.com/[...]
2017-05-28
[47]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